여러분들께서도 아시다시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태어나면서부터 1살이라는 나이를 가지게 되고 해가 지나면 바로 1살을 더 먹게 됩니다. 이렇게 세는 나이를 가지고 있지만 법률이나 어떠한 계약에 있어서는 만나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를 비롯한 일반 시민들이 불편해하거나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은 것입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적, 법적 나이 계산법이 국제 통용 기준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면 한국만 왜 세는 나이를 쓰고 있는 걸까요? 1. 세는 나이를 쓰고 있는 이유 세는나이는 날짜와 상관없이 태어난 해를 원년(1살)으로 삼고 새해 첫날에 한 살씩 더해서 나이를 세는 비공식적인 나이 셈법입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민법상 만 나이가 공식적인 나이로 인정되지만 민간에서 통상적으로 ..